장성 축령산 등산코스. (블랙야크 100대명산)




장성 축령산
해발 621.6m로 높지 않고 가볍게 산행할 수 있는 산입니다.
편백나무 숲으로 유명해진 장성 축령산은 임종국이라는 조림왕께서 60여년전 부터 축령산 일대에 편백나무를 심어 현재까지 울창한 수림을 볼수 있도록 만들었다.

장성 축령산 등산코스

추암 주차장 ~ 치유센터~ 축령산 정상 ~ 이정표 갈림길 ~ 하늘숲길 전망대 ~ 산소숲길 ~ 치유센터 ~ 숲내음숲길 ~ 대덕화장실 (대덕삼거리)~ 무장애길 공사현장(보통은 대덕화장실 왼쪽으로 하산함) ~ 추암마을 주차장

소요시간 : 4시간 28분(휴식 37분 포함)
산행거리 : 11.5km

장성 축령산 최단코스

등산 코스 : 추암주차장 ~ 치유센터~축령산 정상 ~추암주차장(왕복)
소요 시간 : 1시간 30분(왕복)
산행 거리 : 2.1km (왕복 4.2km)

장성 축령산 등산지도

장성 축령산 편백나무숲길 길라잡이

장성 축령산 편백나무 숲길은 어렵지 않고 쉬운 등산 코스이지만 몇 군데 길을 잘못들면 알바하기 쉬운 곳이 3군데 정도 있다.
알바코스만 잘 알고가면 다른길로 빠져나가는 일 없이 즐거운 축령산 산행이 될수 있다는 것을 명심하자.



  1. 추암주차장 ~ 장성 축령산 정상(거리 2.1km/소요시간 45분)

추암 주차장에 하차하면 축령산을 오르는 길은 2갈래길이 있다. 왼쪽으로 올라가는 길과 오른쪽으로 올라가는길이다.
왼쪽은 도로가 포장이 되어 있고, 우측길은 비포장도로이다.
어느길로 가던 산림치유센터에서 만난다.
오늘은 왼쪽 포장된 도로를 따라 올라간다.
시작부터 살짝 오르막길이 계속이어져서 차량 차단봉(볼라드)이 설치된 곳까지 계속 오르막이다 약 15분정도 올라간다.


차량통행 차단 볼라드를 지나 조금 올라가면 축령산 허리를 감싸고 올라가는 무장애길을 공사하고 있다.
이곳에서 시작한 무장애길은 산림치유센터를 지나 산소숲길까지 이어지는 대단위 공사이다.
공사 현장이 궁금해서 하산할때 무장애길을 따라 미리 내려와봤다.

공사현장을 지나 약 8분 정도 올라가면 축령산 산림치유센터와 임종국님 공덕비가 세워져있는 곳에 당도한다. 축령산은 온통 공사 중이라 주의를 해야한다.
물론 산행에 지장을 주지는 않지만 서로 조심하는 것이 좋다.

앞에 공사중이라는 푯말이 세워져 있다.
그쪽길이 축령산 정상으로 올라가는 입구이다.
공사현장이라고 지나치면 산을 한바퀴 돌아서 와야한다.
지금은 데크 계단을 설치하려고 바닥을 다지는 공사를 하고 있어 등산로를 다 파서 미끄럽기까지 하다.
이곳부터 정상까지 약 600m정도이지만 상당히 가파른 길이다.
축령산 등산 코스 중에서 가장 힘든 구간이다.
정상까지만 올라가면 그 다음부터는 콧노래를 부르며 산행을 즐길수 있다.

직진하면 축령산 중앙임도길이고 모암삼거리와 금곡화장실까지 연결된다.
만약 길을 잃으면 중앙임도로 올라오면된다.

이렇게 공사중인 길을 따라 올라가야한다.
불과 600m이기 때문에 조금은 힘들어도 금방 올라간다.
조금 힘을 내면 시원한 바람이 부는 축령산 정상에 도착한다.

추암주차장을 출발하고 45분만에 장성 축령산 정상에 도착을 한다.

축령산 정상

해발 621.6m 전망대에 올라서면 사방으로 조망이 빵 터진다.
축령산 정상비는 블랙야크 100대명산 인증이 한창이다.



장성 축령산 등산코스

문수산, 취령산 등으로 불렸던 축령산은 대표적으로 추암마을, 괴정마을, 금곡영화마을, 모암마을, 대덕마을 등 6개의 구간으로 나누어져있다.
여러곳에서 축령산을 오르다보니 내리막길도 여러방향으로 하산하게 된다.
그래서 갈림길이 많고 내가 가고자하는 곳으로 하산하는게 쉽지는 않다.
알바하기 싫으면 지도를 숙지하고 산행을 해야한다는 것을 명심하자.

2. 축령산 정상 ~ 하늘숲길 전망대 (거리 2.7km/1시간15분) – 누적 거리 4.8km/소요시간 2시간)

소요시간은 휴식 시간 포함입니다.
축령산 정상에서 우물터와 금곡마을 방향으로 진행한다.
정상에서 800m정도 능선을타고 산행을하면 첫번째 이정표와 버섯모양 쉼터가 나온다.
왼쪽으로는 목책이 길게 쳐져있다.
천연기념물 제463호 ‘고창문수사 단풍나무 숲’ 문화재 구역으로 출입금지라는 안내판과 함께 등산로를 따라 길게 늘어서 있다.
첫번째 이정표에서 두번째 이정표까지는 340m로 2분이면 도착한다.


알바코스 1 :

두번째 이정표에서 우측 금곡화장실/ 금곡마을 방향으로 내려가야한다.
무심코 직진을 하면 무래봉을 지나 문수사로 하산하게 된다.
금곡화장실 0.5km 시간이 남아서 무래봉을 올라가봤는데 조망이 없고 등산안내 꼬리표만 많이 붙어 있다. (약 100m)

금곡화장실로 하산하는 길은 조릿대로 인해 등산로가 보이지 않을 정도로 가려져 있는 곳도 많으니 주의해야한다.
축령산에는 뱀도 많다고 하니 더욱 집중하고 산행을 해야한다.
가을, 겨울에는 스패치를하고 등산하는 것을 추천한다.

첫번째 알바코스를 무사히 지나왔으면 금곡화장실에서 갈길을 다시 선택해야한다.

하늘숲길 전망대는 직진/ 왼쪽은 금곡마을/ 오른쪽은 모암삼거리.

우리는 하늘숲길 전망대를 향해서 직진을 한다.
오른쪽 임도를 따라 가면 300m 정도에 모암 삼거리이다.
하늘숲길 전망대로 가면 1km를 돌아 모암 삼거리에서 만나는 길이다.
시간이 없거나 몸이 불편한 사람들은 임도를 따라 모암삼거리로 진행하는 것이 좋다.


하늘숲길 전망대

하늘숲길 전망대에서 점심 식사와 휴식을 취한다.
추암 주차장에서 10시 25분에 출발하여 하늘숲 전망대(12시25분)까지 2시간이 소요되었다.
무래봉에서 알바하는 것을 못하게 잠시 기다리다 일행이 어느정도 지나가고 출발했어도 너무 빠른 시간에 도착을 한것 같다.
오늘은 주어진 시간이 너무 여유로워서 산행하는 기분이 아니다.
산행은 빡세게 해야하는데, 오늘같은 날도 있긴해야지.




3. 하늘숲길 전망대 ~ 산소숲길 (거리 1.3km/소요시간 55분) – 누적 거리 5.9km/ 소요시간 2시간 55분

하산하는 길에 이정표가 나오면 산림치유센터(중앙임도) 방향으로 진행하면 된다.
하늘숲길 전망대에서 조금만 내려오면 우측으로 길게 나무벤치가 되어있다.
첫번째 나무의자를 지나 왼쪽 돌로된 계곡길과 앞으로 가는 길이 있다.
무심코 왼쪽길이 더 잘보이기 때문에 그쪽으로 하산을 많이한다.
물론 길은 만나지만 조금은 더 위험하다는 것.
앞을 보면 긴 나무 벤치들이 쭉 설치되어 있는 것이 보인다.


알바코스 2.

전망대에서 800m 내려오면 임도를 만난다.
하산하는 길이라 무심코 내리막길로 내려가기 쉽상이다.
어떤 산이든 이정표를 꼭 확인하고 가는 습관을 들여야한다.
이정표에 산림치유센터 1.5km라고 올라가는 방향으로 표시되어 있다. 오른쪽 언덕길로 올라간다.

임도를 따라 경사진 포장된 도로를 따라 한참을 올라가면 모암삼거리이다.
경사로 300m 진행.
모암삼거리는 아까 지나온 금곡화장실에서 300m 내려오면 만나는 길을 오늘은 1.1km 정도 산허리를 돌아 내려왔다.

산소숲길

산소숲길은 1.9km(약 1시간 소요) 축령산 편백나무 숲을 조림한 고 임종국 선생이 안장된 나무가 있는 곳이다.

축령산은 크지가 않아 돌아가나 바로가나 대부분 모두 합류된다.

모암삼거리에서 200m 산림치유센터 방향으로 가면 왼쪽으로 산소숲길이 나오고, 넓은 평상과 휴식공간이 조성되어있다.

굳이 산소숲길을 돌아 오지 않아도 되지만 이왕에 왔으면 산소숲길을 탐방하는 것을 추천한다.
축령산 중앙임도를 따라 가면 치유센터까지 1km이고 20분이면 내려갈수 있다.
산소숲길을 따라 산행을 하면 알바하는 갈림길이 나온다.

4. 산소숲길 ~ 산림치유센터 (거리2.2km/소요시간 50분)– 8.3km/ 소요시간 3시간 45분

산소숲길은 약간의 오르막과 내리막, 갈림길 등이 있다.
산소숲길을 내려가다 만남의 광장에서 갈림길에 주의.

알바코스 3.

축령산 만남의 광장 갈림길에서 우물터 방향으로 진행해야한다. 우측길이다.
직진하면 모암 주차장으로 하산하는 길이다.
알바하지 않으려면 우물터 방향으로 잘 보고 진행하자.

우물터 방향으로 우회전하면 종합안내도에 파란색 물소리 숲길로 진행한다.
물소리 숲길은 오르막으로 조금은 열심히 올라가야한다.
갈림길에서 400m정도 올라가면 물소리숲길 쉼터가 있으니 잠시 휴식을 취하고 산행하는 것이 좋다.

물소리숲길 쉼터에서 200m올라가면 임도를 따라 치유센터로 가는 길이고 중간에 무장애길을 따라 진행해도 치유센터 앞으로 나온다.
치유센터까지 400m정도이다.

공사중인 데크로드를 건너가면 바로 중앙임도이고 산림 치유센터로 바로가는 길이고, 데크로드를 걸어보고 싶으면 왼쪽으로 계속 걸어가면 산림치유센터 마당으로 나온다.
구불구불 길게 만들어진 데크로드는 축령산의 산허리를 휘돌아 길게 공사를 이어가고 있다.
보다 많은 사람들이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큰 돈은 들여 공사하고있다.




춘원 임종국 조림공적비

1956년 부터 조림에 착수하여 수많은 고난과 역경을 헤쳐나가면서 현재의 울창한 편백나무 숲을 조성하는데 집안의 모든 전답과 주택까지 처분하여 조림에 신경을 썻다.
1968년 한 발(가뭄)때는 인부를 구할수가 없어서 온 가족이 물지게를 지고 산비탈길을 오르내리며 한 그루라도 더 살리기 위해 물을 주기도 하였다고 한다.

제1회 공존상 : 전남 장성군 축령산 편백나무숲

이곳은 2000년 제1회 아름다운 숲 전국대회에서 “아름다운 천년의 숲” 으로 선정되어 공존상(우수상)을 수상하였다.
주최 : 산림청, 유한킴벌리, 생명의 숲

위치 : 전라남도 장성군 서삼면 산98번지

주요수종 : 편백나무, 삼나무 등

면적 : 약 569ha, 250만본

관리주체 : 국립장성숲체원 (061-393-1777)/영암국유림관리소(061-470-5342)

5. 산림치유센터 ~ 추암주차장 (거리 3.2km/소요시간45분)– 누적 11.5km/ 소요시간 4시간 30분

산림치유센터에서 왼쪽으로 하산을 한다.
올라올때는 오른쪽 길로 올라왔으니 안가본 길을 가는 것도 좋다.
왼쪽길로 가다보면 숲내음길이 왼쪽으로 있고, 대부분의 사람들은 왼쪽 숲내음길로 해서 하산을 했다.
나는 하늘숲 무장애길 공사가 궁금해서 대덕화장실 삼거리에서 공사장으로 향했다.

추암주차장으로 하산할 사람들은 대덕화장실 왼쪽 끝으로 내려가면 간편하게 1.8km만 내려가면 산행이 끝난다.
나는 공사장으로 길을 잡았다.
큰 차량이 지나갈 수 있을 정도로 산을 깍아 만든 도로이다.
예전에는 이길로도 축령산을 오르곤 했던 길이다.

축령산 하늘숲길

총 사업비 44억원을 들여 2021년 6월 착공하여 한창 공사가 진행중인 축령산 하늘숲길을 무장애로 다닐수 있도록 하고있는 사업이다.
완만한 경사와 계단을 없애고 노약자나 장애인, 어린이도 부담없이 하늘숲길을 다닐수 있도록 하고있다.
어떤곳은 높이가 10m이상이나되고, 공중에 떠서 다니는 기분이 들수 있을 정도이다. 오늘 미리 가본다.

궁금한건 못참는 성격이라 아무도 가지 않는 공사도로를 따라 가다보니 계곡을 지나는 높은 다리공사는 끝났다. 크레인이 들어와서 각종 공사 자재를 옮기고 있다.
많은 분들이 공사를 하고 있다. 배낭메고 지나가는 나를 물끄러미 쳐다본다.
혹시 길을 잘못들었나 해서 그런가?
나는 공사하는 것이 궁금한데…

차량통행 차단봉을 지나 시작된 무장애길은 산림치유센터를 지나 우물터까지 연결되는 데크로드로 약 2.9km에 이른다고 한다.
지금 공사하고 있는 하늘숲길이 마무리되면 편백나무숲을 체험하기 위해 많은 탐방객들이 몰려들것을 예상하고 있다. 그러면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많은 도움을 줄것으로 예상한다.




장성 축령산 산행 후기

전국의 많은 산을 탐방했지만 축령산행은 기억에 오래 남을 것 같다.
울창한 편백나무숲. 삼나무.
가파른길이나 험난한 길은 없고 산책로를 걷는 느낌.
편백나무의 피톤치드가 온몸을 샤워해주는 즐겁고 상쾌한 기분이다.
이번 산행을 마쳤는데도 피곤하거나 힘들다는 기분이 안든다.
빨리빨리가 아닌 슬로우 슬로우 워킹.
비록 갈림길이 많아 잠시 헷갈리는 곳이 있지만 마음을 풀어놓고 산행을 해도 좋을듯한 축령산이다.

편백나무는 일본에서는 신성시하는 나무로 히노끼 라고 부르고, 온천탕에 가면 히노끼탕이 있을 정도로 편백나무를 애용하고 있다.
편백나무는 물속에서도 300년을 썩지 않고 버틴다고 한다. 편백의 향이 진해 잠잘때 사용하는 배개 속 재료로도 많이 사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장성 축령산 총산행거리는 11.5km/ 소요시간은 4시간 28분.

장성 축령산 등산코스 추천 : 추암주차장-치유센터-축령산 정상-하늘숲길전망대-산소길-대덕화장실 삼거리-추암마을 (원점회귀하는 등산코스를 추천한다.)

불펌 금지
직접 발품 팔아다니며 얻은 귀중한 자료입니다.
공유 버튼을 눌러 출처와 함께 담아가세요.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카카오톡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error: 마우스 우클릭 금지 복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