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둘레길 17, 18, 19, 20, 21코스 북한산 둘레길과 함께하는 구간으로 구파발역에서 도봉산역까지 걷는 둘레길로 34.2km이지만 상당히 힘들었던 구간이다.
안내 책자에는 난이도 중으로 되어 있지만, 오르고 내리는 구간이 많아 힘들다.

서울둘레길 17, 18, 19, 20, 21 코스
- 둘레길 코스 : 구파발역-북한산 생태공원-독바위산-형제봉입구-화계사입구-우이역-도봉산역
- 둘레길 거리 : 34.2km
- 소요시간 : 10시간 10분 (휴식48분 포함)
- 난이도 : 힘듦
들어가기 : 구파발역 2번 출구
나오기 : 도봉산역 1번 출구

서울둘레길 17코스 : 북한산 은평코스
- 코스 : 구파발역-선림사앞-족두리봉 입구-북한산 생태공원(풀잎소공원)
- 거리 : 5.4km
- 시간 : 1시간 26분
- 일자 : 2025. 01.07
07:16 구파발역 출발
전철역을 나오니 순간 몸서리가 쳐질 정도로 매서운 날씨다.
이럴 땐 무조건 빨리 걷기를 해서 몸에 열이 나게 하는 것이 상책이다.

맛집인 고향옥 앞에서 천변 산책로로 내려서니, 동네 주민들이 벌써 아침 운동 중이다.
반딧불이 다리를 지나고, 메뚜기 다리를 지나고 은평 뉴타운 폭포동 4단지로 올라가서 427동 앞에 서울둘레길 스탬프 함이 있다.
이곳에 있는 스탬프는 25년 4월까지만 운영하고 철수하는 곳.

처음 발행된 스탬프 북에 도장을 찍는 곳이고, 필자가 가지고 있는 스탬프 북이기도 하다.
오래전에 계획했던 서울둘레길 완주하기인데, 몇 년이 지나 이제서야 시작하고 오늘 마지막 구간이다.

07:44 선림사 앞
이곳부터 산으로 올라가는 길이고, 선림사를 뒤돌아 가는 구간이다.
이정표가 잘되어 있고, 북한산 둘레길 이정표를 따라가면 되며, 서울둘레길과 함께 도봉산까지 간다.

08:30 북한산 족두리봉 입구
왼쪽 무인 계측기가 설치된 곳은 북한산으로 올라가는 등산로이고, 서울 둘레길은 오른쪽 계단을 이용한다.
선림사를 지나 수리공원까지 오르고 내림을 하고, 이곳 대호아파트 뒤로 거침없이 올라온다.

08:41 북한산 생태공원
북한산 구름정원길이고, 풀잎소공원이 있는 곳이다.
서울둘레길 18코스 : 북한산 종로코스
- 코스 : 북한산 생태공원-장미공원-탕춘대성암문-평창마을-연화정사-형제봉입구
- 거리 : 13.0km
- 시간 : 3시간 25분
- 난이도 : 힘듦

08:50 장미공원
북한산 생태공원에서 구기터널로 가는 차도를 건너면 장미공원이라고 작은 공원이 있다.

장미공원에서 계단으로 올라가면 독바위산이고, 탕춘대성암문까지 진행한다.
암문을 지나면 구기터널 상부를 지나고, 가파르게 마을로 내려서면 구기터널 입구 삼거리로 내려간다.

09:48 전심사
전심사를 우측으로 돌면 공사장 울타리가 있고, 좁은 계단을 올라가면 대사관이 있는 곳으로 나온다.
이곳부터 평창동 마을을 돌아가는 길인데, 산 중턱까지 집이 있어 오르고 내리는 구간이 상당해서 힘들다.

10:41 형제봉 입구
포장도로를 걷는 구간이라 발바닥이 아프고, 내리막의 경사도 심한 편이다.
연화정사를 지나서 내려오면 형제봉 입구 스탬프 함이 있다.

서울둘레길 19코스 : 북한산 성북코스
- 코스 : 형제봉입구-정릉탐방-솔샘마당-빨래골-화계사
- 거리 : 5.7km
- 시간 : 2시간 2분
- 난이도 : 중
11:31 정릉 탐방센터
능선까지 오르는 0.5km 구간이 상당히 힘들고, 다음부터는 여유로운 능선길로 내려간다.

갈림길에서 심곡사로 표시된 방향으로 진행해야 하고, 100m 가면 공원 사무소와 화장실이 있는 곳에서 3시 방향으로 내려가면 정릉 탐방센터다.

11:47 솔샘마당
정릉 탐방에서 보국문 방향으로 내려서다, 중앙하이츠 아파트 있는 곳으로 다시 올라간다.
아파트 앞에 우측으로 작은 다리를 건너 계단을 올라가면 솔샘 마당이 있고, 초등학교 뒤편으로 진행한다.

12:00 흰구름길 스탬프
솔샘마당에서 300m 가면 성북 생태체험관을 지나 운동 기구에서 7시 방향으로 진행한다.
0.4km 가면 25년 4월까지만 운영하는 스탬프 함이 있고, 흰구름길이 시작된다.

12:26 구름전망대
오르막이 시작되고, 능선을 타고 내려가면 빨래골 공원 지킴터로 나간다.
공원 지킴터에서 다시 계단으로 올라간다.


12: 35 화계사 일주문
화계사 일주문에서 스탬프를 찍고, 바로 왼쪽 건너편으로 올라가는 길이 서울둘레길 20코스 시작점이다.
서울둘레길 20 코스
- 코스 : 화계사 일주문-도성암-4.19전망대-솔밭공원-우이역
- 거리 : 7.6km
- 시간 : 2시간 35분
- 난이도 : 중

12:50 우회길
일주문에서 0.9km 가면 사유지라고 해서 통행을 하지 말라는 안내문이 있다.
기존 둘레길을 피하고, 된비알로 올라가는 우회길을 이용하라는 안내를 따라 진행했는데, 상당한 가풀막을 올라가야 한다.

1:14 현인요양원
0.6km 돌아서 내려가면 기존 둘레길과 합류하고, 정자 왼쪽 배드민턴장 울타리로 진행한다.
7분 진행하면 연리지가 있고, 마을로 내려서고 150m 내려가 현인 요양원 앞에서 왼쪽으로 다시 올라간다.

1:53 4.19 공원 묘지 전망대
통일 안보 교육원을 지나면 애국지사 묘역이 있고, 순례길 구간이 시작된다.
백련 공원 지킴터를 지나면 보광사를 지나 4.19 묘지 전망대에 도착.

3:18 북한산 우이역
솔밭공원 근처 미아리우동에서 간단하게 국수 한그릇을 비우고, 다시 둘레길을 걷는다.
소나무 숲길을 지나 우이제일교회에서 턴을하고 10여 분 가면 북한산 국립공원 우이분소 앞으로 내려간다.

서울둘레길 21 코스
- 코스 : 우이역-왕실묘역길-쌍둥이전망대-도봉사-도봉산탐방센터-도봉산역
- 거리 : 7.4km
- 시간 : 2시간 9분
- 난이도 : 상

3:41 연산군 묘
우이역 2번 출구에서 횡단보도를 건너 직진하고, 0.5km 도로를 따르면 왕실묘역길이 시작된다.
오른쪽 산으로 올라가면 바로 능선을 따라 진행하는 구간이고, 임도를 내려서 왼쪽으로 연산군 묘가 있다.

4:23 쌍둥이 전망대
연산군묘에서 차도로 나와 횡단보도를 건너면 정의공주 묘가 있고, 우측으로 돌아서 진행한다.
우측으로 방학동길이 시작되고, 3분 정도 올라가면 철조망으로 된 곳에서 철문을 열고 나가면 된다.

바가지 약수터를 지나면 가파른 계단을 올라서게 되고, 방학동 능선길을 걷게 된다.
능선에서 10분쯤 가면 쌍둥이 전망대가 있다.

4:47 윗무수골
방학능선에서 왼쪽으로 내려서면 세일교가 있고, 방학동길이 끝나고 도봉옛길로 이어지는 지점이다.
세일교를 지나 왼쪽으로 천변을 따른다.

5:00 도봉사
윗무수골에서 한바탕 오름을 하다보면 이제는 지친다는 느낌이 팍팍 온다.
마지막 오름이라 희망을 가지고 부지런히 발을 놀린다.
산정 화장실을 지나면 도봉사 앞으로 진행한다.

5:10 도봉산 탐방센터
도봉사에서 0.5km에 도봉산 탐방센터가 있고, 스탬프는 탐방센터에서 조금 내려간 우측에 있으니 잘 찾아야 한다.
서울 둘레길 마지막 스탬프이고, 도장을 찍는 순간 드디어 5번 만에 서울둘레길 전 코스를 완주했다는 안도감.

탐방센터에서 1.0km.
도봉산역 1번 출구를 나가면 서울 창포원이고, 서울둘레길 1코스가 시작되는 곳이며, 종점이기도 하다.
서울 둘레길 17, 18, 19, 20, 21코스를 하루 만에 끝낸다는 것이 이렇게 힘들 줄 몰랐다.
서울둘레길 일지
2024. 12. 27 (1일차) : 1 ~ 5코스 : 30.9km/ 8시간 42분 (휴식 30분)
2024. 12. 29 (2일차) : 6 ~ 8코스 : 25.5km/ 5시간 45분 (휴식 17분)
2025. 01. 03 (3일차) : 9 ~ 12코스 : 31.4km/ 8시간 10분 (휴식 23분)
2025. 01. 05 (4일차) : 13 ~ 16코스 : 35.2km/ 8시간 17분 (휴식 28분)
2025. 01. 07 (5일차) : 17 ~ 21코스 : 34.2km/ 10시간 10분 (휴식 48분)


하나의 목표를 가지고 한다는 것이 쉽지만은 않다는 것을 새삼 느꼈고, 몸으로 체득하는 것도 결코 쉬운 것이 아니라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다음은 경기둘레길 860km에 도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