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 나들길 9코스/ 대룡시장 화개정원 화개산

강화 교동도 가볼만한 곳
강화나들길 9코스 중 일부 화개산과 대룡시장.

강화나들길 9코스

나들길 코스 : 월선포선착장-화개산-월선포선착장
나들길 거리 : 16km
소요시간 : 5시간

오늘은 9코스 중 일부인 화개사 입구 – 화개산-대룡시장까지만 걷기로 한다.
산행거리 : 4km
소요시간 : 1시간 20분
산행일자 : 2022.12.31일



강화나들길 9코스 따라가기

오늘은 2022년 12월 31일 한해를 마무리하는 마지막 날이다.
충분한 시간이 없어 화개사 입구에서 대룡시장까지만 걸어 보도록 한다.

화개사 입구 – 화개산 정상 : 1.5km/ 40분

화개사 입구 : 2:00
읍내리 화개사 입구에서 교도향교 방향으로 올라가다 삼거리에서 좌측 화개사롤 방향을 튼다.
우측은 교동향교롤 가는 길이다.
왼쪽으로 길옆에 강화나들길 표시목과리본이 달려 있다.

화개사 : 2:11
포장된 큰 길을 따라 올라가면 화개사가 정면으로 있다.
목은 이색이 머물렀다고 하는 화개사를 지나면서 등산로가 시작된다.



22년 12월 31일 산행을 했을 당시에는 공사 중이라 철망으로 막아 놓았었다.
지금은 화개정원이 정식으로 개장하여 주변 공사는 끝이 났을 것이다.
눈이 많이 와서 아이젠을 착용하고 오르막 길을 올라간다.

연산군 유배지 갈림길 : 2:24

강화나들길이 초창기라 사람들이 다닌 흔적이 별로 없다.
눈이 와서 등산로는 더욱 안보이고, 이정목과 리본을 따라 올라가고 있다.
비틀비틀 오르막을 올라가다 보면 강화나들길 안내가 자주 보인다.

화개산 봉수대 : 2:31

화개산 봉수대는 현재 낮은 석단만 남아 있고, 남쪽의 덕산봉수에서 연락을 받아 동쪽 하음 봉천산 봉수로 응한다고 되었있는 것이 ‘신증동국여지승람’에 기록되어 있다고 한다.

봉수대 왼쪽으로 화개정원 전망대가 공사중에 있었다.
모노레일은 운행을 하고 있어 타고 올라온 관광객들이 다리에 서서 멀리 북한 땅을 바라보고 있다.

화개정원과 봉수대를 지나면 오른쪽으로 청동기 암각화가 있다.

청동기 암각화 : 2:36
청동기시대 후기의 암각화로 추정하고 있으며 선사시대의 신앙과 생활, 사상 등 총체적인 선사문화를 표현하고 있으며 주로 풍요로운 생산을 기원하는 주술적인 내용이 많다고 한다.

화개산 정상 : 2:40

화개산 정상에서 희미하게 북녁땅이 보인다.
교동도에는 북한에서 피난 내려와 자리잡은 사람들이 많이 있어 고향으로 돌아갈 날만 학수고대하며 살았다고 한다.

고향 땅이 지척에 있으면서도 가지 못하는 한스러운 생활을 하여 대룡시장에 가면 제비집이 있다.



성혈 : 2:45

성혈은 바위구멍그림이라고 한다.
하늘에 별자리, 풍요와 다산, 장수, 태양또는 자연숭배, 마을 재단 등 민간신앙의 일종으로 바위구멍을 통한 주술적 행위의 흔적이라고 한다.


눈이 쌓여있어 치우고 나니 바위에 구멍을 뚫었던 흔적이 보인다.
청동기 시대에 별난 도구도 없을 것인데 바위에 구멍을 뚫을 수 있디나 참으로 대단하다고 생각된다.

화개산성/ 화개약수 : 2:52
화개약수 옆으로 화개산성이 다 무너져 가는 것이 보인다.

화개산성은 축조시기는 알려진바 없고 1555년 최세윤이 증축하고, 1591년 이어양이 외성을 철거하여 읍성을 축조하는데 사용하였으며, 1737년 개축하여 군창을 두었다는 기록이 전해진다고 한다.

눈길을 따라 내려오니 화개정원 정문쪽으로 나온다.

화개정원 : 3:06


산길을 내려오니 왼쪽으로 화개정원 모노레일리 다니는 길이고, 천화문이라고 되어 있다.
입구에는 입산금지라고 팻말이 있다.
해맞이 행사가 있었으나 눈이 많이오고 결빙이 되어 취소한다는 안내문이다.

산길에서 나오면 포장도로를 따라 계속 직진하면 된다.

화개정원 주차장 : 3:10

화개정원을 지나 도로를 따라가면 차도가 나오고 왼쪽으로 가면 대룡시장과 제비집이 있다.
큰길을 따라 내려가면 차량이 회전하는 로터리가 있고 왼쪽으로 대룡시장이다.

대룡시장 : 3:19

대룡시장을 한바퀴 돌아보고 차도 한잔 사서 먹고, 대왕핫도그도 1개 흡입하니 강화나들길 10코스 시작점에 도착했다.



오늘 걷기로 계획한 종점에 도착했다.
화개사 입구에서 총 4.0km/ 1시간 20분 소요되었다.

이곳 주차장에서 강화나들길 10코스인 머르메 가는길로 원점회귀하는 코스이다.
거리 17.2km/ 5시간 40분 소요된다.

대룡시장 가는길

위치 : 강화군 교동면 교동남로 35

대중교통 : 서울 신촌에서 3000번을 타고 강화터미널로 이동

강화터미널에서 교동도 들어가는 버스는 18번이 유일합니다.

신분증 지참

교동도는 민간인 출입통제선입니다. 일명 민통선이라고 하는데요. 평상시에는 검문을 안하는데 남북관계가 안좋아지거나 국가적으로 엄중하다고 할 때는 일일이 검문을 합니다. 그래서 교동도를 방문할 경우 신분증 지참은 필수입니다.

주차장 : 교동 제비집 옆에 무료 주차장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주말에는 주차장이 만차가 되고 도로 양옆으로 길게 늘어선 주차행렬을 볼 수 있습니다.

교동도 가는길 : 지금은 교동대교가 건설되어 차량으로 쉽게 교동으로 진입이 쉽습니다. 강화에서 48번 국도를 타고 강화읍을 지나 하점면을 지나면 교동대교가 나온다.

교동의 중심지이지요. 면사무소가 있으니까. 면사무소 옆에 대룡시장이 있습니다.

교동 가볼만한 곳

교동 향교, 교동 화개사, 교동 읍성, 대룡시장, 교동 제비집, 망향대, 화개정원, 화개산 등이 있습니다.

대룡시장 안내도

대룡시장의 역사

대룡시장은 6.25 때 연백군에서 교동도로 잠시 피난 온 주민들이 다시는 돌아가지 못하자 연백시장을 본따 만든 골목시장입니다.

2014년 7월 교동대교가 개통됨에 따라 많은 관광객들이 찾는 관광 명소로 탈바꿈하고 있습니다.
오래된 건물 그 자체로 역사가 있고 추억이 있는 대룡시장 속으로 들어가 보겠습니다.

대룡시장 입구에 있는 가게로 간판이 붓으로 쓴 것이 요즘은 이색적으로 보이네요. 시골에서 볼수 있는 간판이 정감이 갑니다.

이곳 대룡시장에는 이런 간판을 건 점포들이 많이 있습니다.

1박2일이 촬영을하고 방문객들이 늘어나는 것 같습니다.
교동 이발관이 언제부터인지 식당으로 변했네요. 이발용품과 장비들은 그대로 되어 있고, 돈까스와 국수종류를 판매하고 있어요.



노점인데 뒷편에 대통령선거 포스터가 붙어있어요. 지금까지 잘 보관하고 있는 것이 대단합니다. 곳곳에 희귀한 자료들이 만이 있네요.

영심이네 쌍화탕

“옛건물 원형그대로 추억을 간직한 복고 카페”
출입문 위에 써 있는 문구입니다.
영심이네라는 간판에 이끌려 바라본 찻집.

우리집 고양이도 영심이인데 ㅋ ㅋ ㅋ
그래서 영심이네 집에서 쌍화차를 주문했어요. 가게안에 자리가 없어서 테이크아웃.
계란 노른자 띄워드려요? 가게 안에서 먹으면 당연히 노른자 동동이지요!

향도 굿👍 맛도 굿👍 비쥬얼도 굿👍정성도 굿👍

추천 각 🧉

조롱박거리 : 골목 지붕에 조롱박이 주렁주렁
둥지거리, 벽화거리, 제비거리, 와글와글거리,극장거리 등이 있어요.
또 한군데 추천 집

대왕핫도그

대룡시장의 또 하나 명물은 주차장 옆 대룡 대왕핫도그

목, 금, 토, 일요일에만 영업을 합니다.

핫도그 크기에 놀라고😍
가성비에 놀라고👍

기본메뉴

기본 수제 소세지 숯불대왕 : 3,000원
매콤한 수제소세지 매운대왕 : 3,000원
모짜렐라 자연치즈 치즈대왕: 3,500원
시원한 궁중전통 식혜 : 2,500원

요즘같이 물가가 미친듯이 오르고 있는고, 하다못해 된장찌개도 9,000원 ~10,000원 정도로 올려서 받고 있는데 대왕핫도그는 오히려 가격을 내렸답니다.

이정도 크기와 소세지의 크기로 봐서 우리 동네에서는 6,000원 정도 받고 있는데 반값이네요.

바쁠때는 주문하고 5분에서 10분 정도 기다리는 경우도 많다고 합니다.
부드럽고 고소한 핫도그.

소세지 크기는 대박🍗

대룡시장에 오시면 꼭 먹어봐야 하는 것으로 추천합니다.



교동 제비집

“교동도 제비집은 1950년 6.25 전쟁 당시 두고 온 고향의 흙을 입안 가득 가져와 제비가 지은 집 안에는 고향 땅에 계시는 어머니, 아버지의 얼굴이 있고, 사랑하는 자식들 형제들의 웃음 소리가 들어 있습니다.

교동도 처마 밑, 심지어 안방에서도 만나는 제비집, 오랜 세월 교동 주민들에게 기쁨과 위안이 되어준 제비집은 청정 자연환경을 자랑하는 교동도의 상징이라고 합니다.” -교동 제비집 설명문-

교동도는 6.25 전쟁 중에 연백에서 임시로 피난을 왔다 바로 돌아갈 것으로 믿고 있었지만 70년이 넘은 지금까지 찾아가지 못하는 그리운 고향이 되었다.

가슴아픈 사연이 깃들어 있는 제비집과 대룡시장.

그 당시에 임시로 짖고 살았던 집들이 그대로 남아 있는 대룡시장입니다.

화개정원 모노레일

화개정원 전망대는 아직 공사 중입니다.
글을 쓰고 있는 지금은 완공되어 개장을 했다고 들었습니다.

전망대가 완성되면 북한땅이 보이는 곳으로 실향민들에게는 꼭 가봐야 하는 장소가 될듯합니다.

화개정원 조감도입니다.

화개정원 개장시간 : 09:00 – 18:00

모노레일 요금 : 어른 5,000원/ 청소년 3,000원

강화나들길 9코스 소감

역사와 문화, 분단의 아픔을 간직한 강화 교동도.
얼마전가지만 해도 배를 타고 들어와야 했던 불편한 곳이었으나. 지금은 다리가 놓여 차량을 타고 바로 교동도까지 올수가 있다.

강화나들길 9코스와 10코스가 있는 교동도는 아직도 군의 통제하에 있어 수시로 신분증 검사를 요하는 곳이 있으니 반드시 지참하고 가야하는 교동도이다.

둘레길을 걷고 화개정원까지 볼려면 시간이 빠듯하기에 계획을 잘 수립하여야 한다.
오늘은 강화나들길 9코스 중 일부만 걸었다.
12월 31일이라 해넘이를 볼 요량으로 시간을 맞추었기에 간단하게 진행하였다.

작년 12월 31일에 방문하였던것 올해들어 작성하고 있다.
2023. 05. 27일 씀.

불펌 금지
직접 발품 팔아다니며 얻은 귀중한 자료입니다.
공유 버튼을 눌러 출처와 함께 담아가세요.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카카오톡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error: 마우스 우클릭 금지 복사금지